재활치료
-
대원근(Teres major)의 통증 유발점과 연관통(TrPs, Referred pain)MPS 2022. 1. 7. 15:01
대원근(Teres major)은 팔을 내회전(Internal rotaion), 내전(Adduction), 신전(Retroversion) 시키는 작용을 하는 근육으로 견갑골 하각(Scapular inferior angle)에서 기시(Origin)해서 상완골 소결절 (Humerus lesser tuberosity crest)에 정지(Insersion)한다. 팔의 내회전(Internal rotaion)과 신전(Retroversion)시 대원근은 광배근(Latissimus dorsi), 상완 삼두근 장두(Triceps brachii long head)와 함께 작용한다. 즉, 대원근, 광배근, 상완 삼두근 장두는 기능적 단위(Functional unit)로 작용한다. 컴퓨터 키보드를 치거나 필기를 할 때, 운전을..
-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의 원인과 악화 요인들MPS 2022. 1. 3. 16:32
통증 유발점(Tirgger point, TrPs)은 활동성(Active TrPs)과 잠복성(Latent TrPs)으로 나뉜다. 활동성 통증 유발점은 통증이나 불편감, 운동범위 제한, 근력 약화를 동반한다. 활동성 통증 유발점을 압박했을 때, 통증이 일정한 패턴(Referred pain)으로 퍼져나가는 특징이 있다. 잠복성 통증 유발점은 근 긴장도 증가(Increased muscle tension), 근육 단축(Muscle shorting)등의 특징이 있다. 활동성(Active TrPs), 잠복성(Latent TrPs) 통증 유발점 모두 기능부전(Dysfunction)을 일으킬 수 있다. 근육 과사용, 급격한 과부하, 피로, 신경근 병증, 외상 등의 이유로 통증 유발점이 생긴다. 단단한 띠(Taut ban..
-
다리 길이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Chiropractic 2022. 1. 2. 15:30
카이로프랙틱에서 평가의 기본은 X-ray 분석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서있는 자세(Standing position)에서 촬영해야 한다. 일부 카이로 프랙틱 테크닉에서는 (AMCT, Thompsom Technique) 다리 길이 분석을 통해 평가를 하기도 한다. 근육, 인대, 추간판, 힘줄, 연골, 관절연골, 활액의 압력, 혈관, 뼈, 근막 조직은 기계 수용체(Mechanoreceptor), 통각 수용체(Nociceptors), 체성 수용체(Proprioceptors)를 통해 신경계(Nervous system)와 상호작용을 한다. 신경계는 신체 균형유지를 위해 끊임없이 작동한다. 직립자세를 유지하고 걷고, 뛰고, 움직이는 신체활동은 신경학적 구조에 의해 유지된다. 생체역학적 기능부전(Biomecha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