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훼완근, 통증유발점과 연관통(Coracobrachilalis Trigger point & Referred pain)MPS 2022. 2. 9. 14:52반응형
오훼완근(Coracobrachialis)은 상완 이두근과 함께 오훼돌기(Coracoid process) 끝에서 기시(Origin)한다. 정지(Insersion)점은 상완 삼두근과 이두근 부착부 사이, 상완골(Humerus) 내측에서 끝나며 근피신경(Musclocutaneous)의 지배를 받는다.
오훼완근은 상완골의 굴곡(Flexion)과 내전(Adduction)작용을 한다. 또한 상완골 외전(Humerus) 시 안정구조로 작용하는 근육 중 하나다. 기능적 단위(Functional unit)로 함께 작용하는 근육으로는 전삼각근(Anterior deltoid), 상완 이두근 단두(Biceps brachii short head), 대흉근(Pectoralis major)이 있다.
오훼완근 굴곡(Flexion)에 대한 길항근(Antagonist)으로는 후삼각근(Posterior deltoid), 광배근(Latissimus dorsi), 대원근(Teres major), 상완 삼두근 장두(Triceps brachii long head)가 있다.
오훼환근 통증 유발점의 일차적 증상은 어깨 전면과 상완골 후면 통증이다. 또한 팔을 허리 뒤로 가져가는 동작을 할 때 통증이 발생한다.
오훼완근(Coracobrachialis)과 관련된 연관통(Referred pain)은 상완골 후면, 전완 후면, 손등, 3번째 손가락으로 발생한다. 단, 팔꿈치 관절에서는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다.
오훼완근 단독으로보다는 전삼각근, 상완 이두근 장두, 상완 삼두근 장두와 같은 연관된 근육과 함께 통증 유발점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어깨와 팔의 통증과 관련해서, 기본적으로 이들 근육을 묶어서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면 편하다.
오훼완근은 팔을 머리위로 끝까지 들어 올리는 동작과도 관련된다. 오훼완근에 문제가 있으면 팔을 들어 올려 머리 뒤로 가져가는 동작이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오훼완근은 물론 상완와 관절(GH joint), 견쇄 관절(AC joint), 흉쇄 관절(SC joint)의 문제도 함께 해결해야 한다. 특히 가동범위 끝에서 발생하는 통증 해결의 키는 흉쇄 관절(SC joint)에 있는 경우가 많다.
참고
Travell &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반응형'M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완이두근의 통증 유발점과 연관통(Biceps brachii Trigger point & Referred pain) (0) 2022.02.10 삼각근 통증 유발점과 연관통(Deltoid Trigger point, Referred pain) (0) 2022.02.07 등 통증을 유발하는 능형근 (Rhomboids TrPs, Referred pain) (0) 2022.01.22 견갑하근(Subscapularis) 통증유발점과 연관통(TrPs, Referred pain) (0) 2022.01.16 대원근(Teres major)의 통증 유발점과 연관통(TrPs, Referred pain) (0)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