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
-
다리 길이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Chiropractic 2022. 1. 2. 15:30
카이로프랙틱에서 평가의 기본은 X-ray 분석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서있는 자세(Standing position)에서 촬영해야 한다. 일부 카이로 프랙틱 테크닉에서는 (AMCT, Thompsom Technique) 다리 길이 분석을 통해 평가를 하기도 한다. 근육, 인대, 추간판, 힘줄, 연골, 관절연골, 활액의 압력, 혈관, 뼈, 근막 조직은 기계 수용체(Mechanoreceptor), 통각 수용체(Nociceptors), 체성 수용체(Proprioceptors)를 통해 신경계(Nervous system)와 상호작용을 한다. 신경계는 신체 균형유지를 위해 끊임없이 작동한다. 직립자세를 유지하고 걷고, 뛰고, 움직이는 신체활동은 신경학적 구조에 의해 유지된다. 생체역학적 기능부전(Biomechanic..
-
카이로프랙틱의 3가지 원리(Three principle of Chiropractic)Chiropractic 2022. 1. 1. 16:21
카이로프랙틱의 3가지 원리 - 신경역학적 원리 (Neuromechanoical principle) - 생체역학적 원리(Biomechanical principle) - 물리화학적 원리 (Mechanochemical principle) 신경역학적 원리 (Neuromechanoical principle) Manipulation의 기계적 자극은 신경계(Nervous system)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기계적 자극(Mechanical input)은 1차 구심성 뉴런(Primary afferent neurons)을 자극한다. 그리고 1차 구심성 뉴런의 자극은 중추신경계(CNS)의 자극으로 이어진다. Manipulation, Adjustment 등으로 불리는 기계적 자극은 Ia, Ib, Muslce spindle,..
-
극상근 통증 유발점 (Supraspinatus Trigger point)MPS 2021. 12. 31. 17:30
극상근(Supraspinatus)은 견갑골 극상와(Supraspinous fossa of the scapular) 내측 2/3에서 시작하여 상완골 대결절 위쪽(Greater tubercle of humerus)으로 부착한다. 극상근의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이 있을경우 어깨 깊숙한 부위 및 삼각근 주변으로 통증이 생긴다. 그리고 팔을 들어 올릴(Abduction) 때 주로 통증이 발생한다. 극하근(Infraspinatus)의 통증 유발점 패턴과 극상근 통증 유발점 패턴은 비슷하다. 둘의 차이점은 팔꿈치로 통증 유뮤다. 극상근 통증 유발점은 팔꿈치 바깥쪽(Lateral epicondyle)으로 통증이 생긴다. 또한 삼각근 주변에서 발생하는 극상근 통증 유발점은 삼각근하 점액낭염(Sub-del..
-
극하근(Infraspinatus)의 통증유발점(Trigger point)MPS 2019. 10. 23. 10:04
Infraspinatus (극하근) Origin : Infraspinous fossa of the scapular Insertion : Greater tuberosity of the hunerus Action : External rotation Innervation : Suprascapular nerve (C4-C6) 극하근(Infraspinatus)은 팔을 외회전(External rotation)시키는 동작과 함께 상완골두(Humeral head)를 관절와강(Glenoid cavity)에 안정화(Stabilization)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극하근(Infraspinatus)과 함께 외회전(External rotatio에 관여하는 근육으로는 소원근(Teres minor)과 후삼각근(Posterior d..
-
대퇴근막장근(TFL, Tensor Fascia Latae)의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 / 관련된 내부장기(Visceral)물리치료 2019. 10. 18. 10:38
대퇴근막장근의 통증 유발점에서 기인하는 압통 및 연관통은 대퇴 전측면에 집중되며 대퇴부에서 무릎까지 확산됩니다. 또한 대퇴근막장근(TFL)의 연관통(Referred pain)은 대전자 점액낭염(Trochanteric bursitis)과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대퇴근막장근(TFL)의 기시(Origin)는 장골능 외연(Outer lip of the crest of the ilium)의 앞쪽 및 장골극의 전상부(ASIS)와 대퇴 근막의 심층부입니다. 정지(Insersion) 부위는 전내측(Anteromedial)과 후외측(Posterolateral)으로 분리 되는데 전내측 섬유(Anteromedial fiber)는 슬개골(Patella) 위치에, 후외측 섬유(Posterolateral fiber)는 Iliot..
-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의 통증유발점(Trigger point), 근력검사(Muscle monitoring), 관련된 내부장기(Visceral)MPS 2019. 10. 17. 10:11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의 통증유발점(Trigger point, TrPs)은 천장관절(SI joint)과 엉덩이 장골능(Crest of iliac) 서혜부(Groin) 대전자(Great trochanter) 부위로 연관통(Referred pain)을 유발합니다. 특히 대전자(Great trochanter) 부위에 강도 높은 연관통(Referred pain)이 발생했을 때는 잠자기 힘들 만큼(Disrrupt sleep) 통증이 심할 수 있습니다. 요방형근(Qudratus luborum)은 해부학적 부착부위에 따라 장늑근 섬유(Iliocostal fiber), 장요 섬유(Iliolumbar fiber), 요천추 섬유(Lumbosacral fiber) 로 나뉩니다. 요방형근(Quadratu..
-
비골근(Peroneus muscles)의 통증유발점(MPS), 관련된 내부장기(Visceral), 근력검사(MMT)MPS 2019. 10. 16. 10:05
비골근(Peroneus muscles)은 약한 족관절 근육(Weak ankle muscles)이라고 할 만큼 족관절(Ankle joint)과 관련이 많은 근육입니다. 물론 약하다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비골근(Peroneus muscles)에 문제가 생기면 발목관절(Ankle joint)에도 문제가 있다.' 또는 발목관절(Ankle joint)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비골근(Peroneus muscles)을 살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골근(Peroneus muscles)은 장비골근(Peroneus longus), 단비골근(Peroneus brevis), 제3비골근(Peroneus tertius)으로 나뉘는데, 비골근의 통증유발점(Trigger point, TrPs)은 정강이 바깥쪽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
-
사각근(Scalene muscles)의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 관련된 내부 장기(Visceral), 근력감사(MMT)MPS 2019. 10. 15. 09:58
사각근(Scalene muscles)은 부착부위에 따라 전사각근(Scaleneus anterior), 중사각근(Scaleneus medius), 후사각근(Scaleneus posterior)으로 나뉩니다. 전사각근(Scaleneus anterior)은 경추 3번에서 6번 횡돌기 전방(Anterior tubercle on the transverse process of vertebrae C3 to C6)에서 기시(Origin)해서 제1늑골(1st rib) 내측면(Inner border)과 쇄골하동맥구 전상면의 사각근 결절에 건으로 부착(Insersion) 됩니다. 중사각근(Scaleneus medius)은 경추 2번에서 7번 횡돌기의 후극(Posterior tubercle on the transverse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