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
-
상완이두근의 통증 유발점과 연관통(Biceps brachii Trigger point & Referred pain)MPS 2022. 2. 10. 15:02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은 어깨(Shoulder), 팔꿈치(Elbow) 그리고 근위 요척관절(Proximal radioulnar joint) 사이에 위치한다. 이는 상완이두근이 어깨 통증과 팔꿈치 통증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시한다. 상완이두근은 장두(Long head)와 단두(Short head)로 나뉜다. 상완이두근 장두는 견갑골 관절와 상연(Superior margin of the glenoid cavity of the scapular)에서 기시(Origin)한다. 상완이두근 단두(Biceps brachii short head)는 견갑골 오구돌기(Scapular coracoid process)에서 기시(Origin)한다. 상완이두근 장두와 단두는 하나의 힘줄을 이루며 요골 조면(Radi..
-
오훼완근, 통증유발점과 연관통(Coracobrachilalis Trigger point & Referred pain)MPS 2022. 2. 9. 14:52
오훼완근(Coracobrachialis)은 상완 이두근과 함께 오훼돌기(Coracoid process) 끝에서 기시(Origin)한다. 정지(Insersion)점은 상완 삼두근과 이두근 부착부 사이, 상완골(Humerus) 내측에서 끝나며 근피신경(Musclocutaneous)의 지배를 받는다. 오훼완근은 상완골의 굴곡(Flexion)과 내전(Adduction)작용을 한다. 또한 상완골 외전(Humerus) 시 안정구조로 작용하는 근육 중 하나다. 기능적 단위(Functional unit)로 함께 작용하는 근육으로는 전삼각근(Anterior deltoid), 상완 이두근 단두(Biceps brachii short head), 대흉근(Pectoralis major)이 있다. 오훼완근 굴곡(Flexion)에..
-
삼각근 통증 유발점과 연관통(Deltoid Trigger point, Referred pain)MPS 2022. 2. 7. 16:10
삼각근(Deltoid)은 기시 위치에 따라 전삼각근, 중삼각근, 후삼각근으로 나뉜다. 전삼각근(Anterior deltoid)은 쇄골 외측 1/3에서 기한다. 중삼각근(Middle deltoid)은 견봉(Acromion)에서 후삼각근(Posterior deltoid)은 견갑골극(Scapular spine) 외측에서 기시 한다. 이렇게 기시(Origin)한 근섬유들은 삼각근 돌출부(Deltoid prominence)에 정지(Insersion)한다. 삼각근은 경추5번-6번 신경근(C5-6 Spinal root)에서 나와 후삭(Posterior cord)을 통해 액와 신경(Axillary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상완골 외전(Humerus abduction) 시에 삼각근이 작동하는데 특히 팔을 90도에서..
-
견갑하근(Subscapularis) 통증유발점과 연관통(TrPs, Referred pain)MPS 2022. 1. 16. 16:46
견갑하근(Subscapularis)은 견갑골 전면에서 시작해 상완골 소결절(lesser tubercle)과 견관절낭(Capsule of the shoulder joint)에 부착되는 근육으로 회선근개(Rotator cuff) 근육 중 하나다. 견갑하근은 상완골을 내회전(Internal rotation)시킨다. 견관절와에 상완골두를 안정화시키는 작용(Stability of the GH joint)은 견갑하근의 중요한 기능으로 상완골 전방 전위를 막아준다. 상완골이 외전(Humerus abduction)하는 동안 삼각근의 작용으로 상완골두를 견봉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완골두를 잡아당기는 것을 막아주는 근육이 견갑하근이다. 견갑하근은 어깨 관절을 안정화시키는 근육이지만, 심하게 단축된(Strongly ..
-
대원근(Teres major)의 통증 유발점과 연관통(TrPs, Referred pain)MPS 2022. 1. 7. 15:01
대원근(Teres major)은 팔을 내회전(Internal rotaion), 내전(Adduction), 신전(Retroversion) 시키는 작용을 하는 근육으로 견갑골 하각(Scapular inferior angle)에서 기시(Origin)해서 상완골 소결절 (Humerus lesser tuberosity crest)에 정지(Insersion)한다. 팔의 내회전(Internal rotaion)과 신전(Retroversion)시 대원근은 광배근(Latissimus dorsi), 상완 삼두근 장두(Triceps brachii long head)와 함께 작용한다. 즉, 대원근, 광배근, 상완 삼두근 장두는 기능적 단위(Functional unit)로 작용한다. 컴퓨터 키보드를 치거나 필기를 할 때, 운전을..
-
허리 통증이 생기는 이유 (Pathogenesis of Low Back Pain)물리치료 2022. 1. 4. 14:23
아주 작은 병태생리학적(Pathophysiology) 변화에서 허리 기능 이상(Lumbar spine dysfunction)이 시작된다. 초창기에는 기능 이상은 있지만 구조는 정상이다. 예를 들어 엑스레이나 CT상에는 이상이 없지만,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다. 초기의 아주 작은 병태생리학(Pathophysiology)적 변화, 기능 이상(Dysfunction)에서부터 퇴행성(Degeneration)이 시작된다. 허리통증의 원인을 이해하려면 1. 감정적 요인(Emotional factors), 2. 근육의 변화(Myofascial pain & dysfunction), 3. 후관절과 디스크의 변화(Change in the facet joint & interverte..
-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의 원인과 악화 요인들MPS 2022. 1. 3. 16:32
통증 유발점(Tirgger point, TrPs)은 활동성(Active TrPs)과 잠복성(Latent TrPs)으로 나뉜다. 활동성 통증 유발점은 통증이나 불편감, 운동범위 제한, 근력 약화를 동반한다. 활동성 통증 유발점을 압박했을 때, 통증이 일정한 패턴(Referred pain)으로 퍼져나가는 특징이 있다. 잠복성 통증 유발점은 근 긴장도 증가(Increased muscle tension), 근육 단축(Muscle shorting)등의 특징이 있다. 활동성(Active TrPs), 잠복성(Latent TrPs) 통증 유발점 모두 기능부전(Dysfunction)을 일으킬 수 있다. 근육 과사용, 급격한 과부하, 피로, 신경근 병증, 외상 등의 이유로 통증 유발점이 생긴다. 단단한 띠(Taut ban..
-
소원근 통증 유발점 (Teres minor Trigger point)MPS 2022. 1. 2. 15:52
소원근(Teres minor)은 견갑골 바깥쪽(Lateral border of scapular)에서 기시(Origin)해 상완골 대결절(Great tuberosity of humerus)에 부착한다. 소원근은 상완골 외회전(External rotation) 작용을 한다. Gray antomy는 소원근이 약간의 내전(Adduction) 기능을 한다고 언급한다. 소원근의 기능은 극하근(Infraspinatus)과 비슷하다. 그러나 소원근은 액와신경(Axillary nerve)의 지배를 받고, 극하근은 상견갑신경(Suprascapul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소원근은 회선근개(Rotator cuff)를 구성하는 근육 중 하나다. 소원근은 후삼각근과 협력 작용(Synergist)을 하고, 견갑하근, 대..